챗GPT 어플 자동결제 사기 피해 및 예방법, 대처법(ChatGPT)
최근 AI 기술의 결정체로 챗GPT가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일상에 크게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사람들의 관심도 매우 큰 상황인데, 이러한 챗GPT와 관련된 어플을 다운로드 시 신종 피싱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그 현황과 예방법, 대처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챗GPT의 정의와 사용방법>
챗GPT란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원하는 정보를, 언제 어디서는 편리하게 얻어 낼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OpenAI, 빙 등에서 출시하여 체험할 수 있습니다. 주로,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그 검색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쏟아내는 방식입니다.
<공식 챗GPT 어플, 사기수법, 사기 예방하기>
공식적인 챗GPT 어플 자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OpenAI나 빙(Bing)에서 공식적으로 출시한 어플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애플앱스토어나 구글플레이스토어에 챗GPT라고 검색하면 다운받을 수 있는 어플들은 공식적인 어플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어플을 다운받을 때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최근 이렇게 안정성이 확실히 입증되지 않은 어플을 다운받고 피싱 사기를 호소하는 경우가 상당합니다. 가중 대표적인 사기수법은 자동결제 사기입니다. 어플을 다운받게 되면, 사용을 위해 신용카드 번호 16자리와 CVC, 그리고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라고 합니다. 입력하는 순간 2.99달러, 9.99달러, 39.99달러 식으로 계속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과금 근거도 없고 그냥 막 빼가는 것입니다. 심지어, 여러분이 다운받은 어플에서 이러한 자동결제를 철회 할 수 있는 별도의 버튼이나 기능도 없기 때문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습니다.
챗GPT어플 뿐만 아니라 그 어떤 어플을 다운받는 경우에도, 금융정보를 절대 입력해서는 안됩니다. 어떤 일이 있어도 절대 입력해서는 안 됩니다. 결국 금융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입니다. 물론 어플을 설치했을 때 역시, 자동결제뿐만 아니라 어떤 악성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있을지 모르니, 공식적인 챗GPT를 체험하고자 하면, 위에서 설명한 OpenAI나 빙(Bing)에서 안전하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챗GPT 자동결제 사기 대응, 신고연락처>
검증되지 않은 챗GPT 어플은 다운받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책입니다. 하지만 어플을 다운받고 금융정보를 입력하여, 지속적으로 자동결제 피해를 당하고, 취소나 철회도 되지 않는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최선의 방법은 카드사에 연락하여 정지신고 또는 분실신고를 하여 더 이상 자동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아래에 우리, 신한, 롯데, 삼성 등등 금융사별 피해접수 신고처를 다운로드 받아, 연락하여 즉각 조치하시기 바랍니다.
댓글